요즘 여름 더위를 피해 시원한 실내에서 운동하기 위해 헬스장에 가는 분들 많으시죠?
매달 수십만원의 회원비를 지출하고 올 여름은 날씬한 몸매를 만들겠다고 다짐했지만,
헬스클럽을 향하는 발걸음은 늘 무겁기만 합니다.
러닝머신 위에서 달리는 모습을 보면 오히려 고된 처벌처럼 보이기도 할 때가 있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헬스클럽을 가기 괴로웠던 분들은 왜 자신이 그동안 그토록 헬스클럽을 가기 힘들었는지 약간은 수긍할 수 있을 겁니다.
과장을 조금 보태서 헬스클럽 러닝머신을 달리는 건 사실 19세기 영국 교도소 수감자의 일상과 크게 다르지 않거든요.
사실 러닝머신은 과거에는 고문기구로 사용되었다는 충격적인 사실을 아시나요?
놀라운 러닝머신의 역사와 오늘날 모습, 흥미진진하게 살펴보겠습니다.
끔찍했던 19세기 영국 교도소, 고문기구 러닝머신의 탄생
트레드밀(treadmill)이라고 불리는 러닝머신은 원래 1800년대 영국인 죄수들을 처벌하기 위해 고안된 고문기구였습니다.
19세기 영국 교도소는 비위생적이고 가혹한 환경 속에서 수감자들이 고된 노동을 강요당하는 곳이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탄생한 것이 바로 러닝머신의 전신인 트레드밀입니다.
1818년 영국의 기술자 윌리엄 큐빗은 수감자들의 중노동을 돕기 위해 트레드밀을 고안했습니다.
10~20명의 수감자들이 거대한 원통을 밟아 돌리는 형태였으며,
생산된 동력은 물을 퍼내거나 곡물을 분쇄하는 데 사용됐습니다.
그리 효율적이진 않았다고 합니다.
수감자들의 악몽, 트레드밀(treadmill)
1842년 트레드밀은 영국의 주요 교도소들에 보급됐습니다.
윌리엄 큐빗은 타인에게 고통을 주는 것을 즐기는 사디스트는 아니었습니다.
하지만 그의 트레드밀은 수감자들에게 막대한 체력적ㆍ정신적 고통을 안겨줬습니다.
수감자들은 하루 6시간, 주 5일 동안 트레드밀에 올라야 했습니다.
불량한 식사를 하면서 극심한 체력적 노동을 강요받았고,
그들의 하루 운동량은 에베레스트 산 절반 높이를 오르는 것과 거의 비슷했습니다.
게다가 트레드밀은 단조로운 운동으로 수감자들에게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안겨주었습니다.
마치 공포의 무대처럼, 트레드밀은 수감자들의 삶을 지옥으로 만들었던 것입니다.
트레드밀은 점점 진화해 19세기 말에는 트레드밀에 칸막이가 설치됐습니다.
마치 투표소처럼 공간을 분리한 칸막이들은 수감자들이 트레드밀을 밟는 동안
서로 어떤 대화도 나눌 수 없게 만들었습니다.
반면에 교도관들은 트레드밀을 수감자들을 통제하는 데 매우 효과적이라고 생각하였고 두 팔 벌려 환영했습니다.
1898년까지 사용된 트레드밀은 결국 수감자들의 인권을 보호한 교도소법이 통과되며 금지되었습니다.
트레드밀은 그렇게 역사 속으로 사라지는 듯 했습니다.
예상치 못한 트레드밀의 활용, 운동기구로의 재탄생
하지만 1952년 트레드밀은 의료기기로 역사 속에 재등장합니다.
워싱턴 대학의 로버트 브루스 박사와 웨인 퀸튼 박사는 심장과 폐 질환을 진단하기 위한 의료용 기기로 사용되었습니다.
1960년대 미국에서 조깅 붐이 일면서 본격적으로 운동기구로 자리매김했습니다.
1968년 케네스 쿠퍼 박사는 저서 『에어로빅』에서 러닝머신을 이용한 유산소 운동의 효과를 널리 알렸습니다.
러닝머신의 재탄생과 오늘날 모습
초기 러닝머신에는 기울기 조절 기능만 있었지만,
운동의 효율성을 높이는 다양한 기능들이 탑재되었습니다.
오늘날에는 속도 조절, 자동 프로그램, 심박수 측정 등 다양한 기능들이 탑재된 현대적인 러닝머신으로 진화했습니다.
또한, 가정용 러닝머신의 등장으로 언제 어디서든 운동을 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되었습니다.